보라카이 재난지역 선포 계획. 보라카이 6개월간 폐쇄 여행업계 환불 조치



보라카이 6개월간 폐쇄결정 국내 여행업계 환불 조치


필리핀, 환경정화 위해 26일부터
필리핀 정부가 5일 대표적 휴양지인 보라카이섬을 앞으로 6개월간 전면 폐쇄 조치를 발표하면서 국내 여행업계도 환불 조치에 나섰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지난 4일 정부 관계부처 합동회의에서 보라카이섬의 환경 정화를 위한 폐쇄 조치를 결정했으며 오는 26일부터 발효된다고 현지 언론들이 보도했다.

오는 10월까지 폐쇄가 결정된 만큼 해당 기간 내 여행상품을 판매한 국내 여행업계들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내 아웃바운드 1위 업체인 하나투어는 이날 해당 상품을 예약한 고객들에 대해 수수료 없이 전액 환불 조치를 하기로 했다. 하나투어 측은 “세계적인 관광지에 폐쇄 조치가 내려진 것은 매우 드문 일”이라면서도 “현재 해당 기간 상품을 구매한 고객은 1600여명이며 오늘부터 환불이나 연기 등을 위한 안내 고지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하나투어의 경우 보라카이 상품이 전체 필리핀 여행 상품의 50%에 달한다. 모두투어 등 다른 여행사들도 환불 조치를 통해 국내 피해를 최소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Click

필리핀 중부 아클란주에 있는 보라카이섬에는 지난해 200만명이 넘는 국내외 관광객이 찾았다. 올 2월까지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늘어난 26만 2000여명이 이곳을 방문했으며, 그중 한국인은 8만 8000명으로 중국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지난 2월 보라카이섬은 시궁창이라고 비판하며 신속한 환경정화를 위해 비상사태 선포를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필리핀 정부는 환경유해 시설 100여곳에 대한 철거 명령을 내리고, 현지 관리들의 비위 행위를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출처:서울신문)



두테르테, 보라카이 재난지역 선포 계획


【서울=뉴시스】필리핀 휴양지 보라카이. (사진=필리핀 관광청 제공)

【서울=뉴시스】이수지 기자 =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환경 복원을 위한 6개월 폐쇄로 피해 보는 근로자 및 자영업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보라카이 섬을 재난지역으로 선포한다고 더 스트레이츠 타임스가 5일 보도했다.

해리 로케 대통령궁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보라카이를 재난지역으로 선포할 예정”이라며 “이 조치로 정부는 20억 필리핀 페소(약 408억원)로 약 3만 6000곳의 호텔과 리조트 근로자, 마사지사, 자영업자 지원에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세부퍼시픽, 필리핀 에어라인, 에어아시아 필리핀 등 필리핀 항공사들은 오는 26일부터 10월25일까지 보라카이 인근 공항 2곳 카티클란과 칼리보 노선의 운항횟수를 줄일 계획이다. 세부퍼시픽의 경우 19편의 운항 취소했으며, 향후 6개월간 300만 달러(약 31억원)~500만 달러(약 53억)에 이르는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한다. 에어아시아도 13편의 운항을 중단했지만, 팔라완, 보홀, 세부, 다바오 등 다른 목적지들에 대한 증편을 계획하고 있다. 이들 항공사는 승객들에게 전액 환불해주거나 다른 지역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호텔과 리조트에 미칠 영향은 아직 평가되지 않았다. 정부가 이번 조치에 대해 협상은 불가하다는 태도여서 현지 기업들은 체념한 듯 보인다고 더 스트레이츠 타임스는 전했다. 관광회사를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는 더 스트레이츠 타임스에 “지금 좀 힘들지만, 폐쇄조치를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근근이 먹고 살아가야 하는 직원 3만명에 대해 무거운 마음이 든다”고 말했다. 

프레데릭 알레그리 관광부 차관보는 5일 성명에서 “섬 근처에 배치된 경찰관들이 관광객의 접근을 막을 것‘이라며 ”환경 복원 기간 중 섬을 봉쇄하지는 않지만 국내외 관광객 방문은 불허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섬을 보호하려면 쓴 약도 삼켜야 한다며 정부는 관광업에 미치는 타격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강조했다. 

보라카이는 2017년에만 200만명이 넘는 관광객을 끌어 모아 관광 수입으로 560억 필리핀 페소(약 1조1435억원)를 벌어들였다
(출처:뉴시스)


TAGS.

Comments